Book/DDIA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 Part 2 분산데이터
수밈
2024. 2. 15. 23:47
데이터베이스 분산 아키텍처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장비만 사용하지 않고 여러 장비를 사용하는 이유
확장성
부하가 증가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내결함성 / 고가용성
하나의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는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장비 하나의 실패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지역적 분산을 통한 접근성 향상
장비를 여러 지역에 배치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접근 속도를 향상시킨다.
사용자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공유 아키텍처 (수직 확장)
하나의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
특징: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자원을 공유
단점: 지리적 제한, 단일 장애점,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비공유 아키텍처 (수평 확장)
특징: 여러 장비를 사용. 각각의 장비가 CPU, 메모리, 디스크를 독립적으로 사용
장점: 비용 효율성, 낮은 지연시간, 지리적 이점을 제공
단점: 시스템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분산하는 방법
복제: 데이터의 복사본을 다른 위치의 노드에 공유
파티셔닝: 데이터베이스를 작은 서브넷으로 나누고, 각 서브넷을 독립된 노드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