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IP 주소

수밈 2024. 8. 8. 20:41

이럴수가... 글이 날아가서 상실감에 포스팅이 늦었습니다. 이번에는 IP 주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한 주소입니다. 택배를 시켰을때, 해당 물건을 받기위해 내가 사는 주소지를 입력하듯, 컴퓨터는 자신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 받습니다.

IP 주소는 크게 네트워크 주소호스트 주소로 나뉩니다. 네트워크 주소는 내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호스트 주소는 그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 장치, 즉 나를 식별하는 주소를 의미합니다.

 
192. 168. 0. 103
 
 
이렇게 IP주소를 보면 `.`으로 구분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옥텟이라고 하는데요. 이 옥텟을 기준으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는 방법을 클래스풀 주소체계라고 합니다.
 

 

클래스풀 주소체계

 

클래스풀 주소 체계는 옥텟의 첫 부분을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하면 클래스 A, B, C 순으로 증가합니다. 클래스풀 주소 체계는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클래스 A의 경우, 네트워크 주소가 한 옥텟이고 호스트 주소가 세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어 약 16,000,000개의 호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클래스 B는 약 65,000개, 클래스 C는 256개의 호스트 주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300개의 호스트 주소가 필요할 때, 클래스 B 주소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주소를 할당받게 되어 자원이 낭비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클래스 풀 주소 체계가 아닌 클래스리스 주소체계가 등장하였습니다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클래스리스 주소체계는 기존 옥텟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임의의 지점으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나눕니다. 이 주소를 구분짓는 수단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를 1, 호스트 주소를 0으로 표기한 비트열을 의미합니다. 

 

192.165.200.100 의 주소에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이라고 가정하면, 네트워크주소는 192.165.200 를 의미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 으로 십진수로 표기할 수 있고, 이진수로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표기하는 방법을 CIDR 표기법이라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