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계층을 배우면서 TCP/IP 계층모델, OSI 7계층 모델을 배웠습니다. 아래 단계부터 천천히 적어보려고 합니다.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신호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계층입니다. 이 두 계층에서는 주로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쉽게 말하면, 퓨터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보통 '케이블'로 연결되는데, 케이블로 정보를 어떻게 주고받을 지 규칙이 필요하였습니다. 그렇게 나온 규칙이 이더넷 표준 프로토콜이었습니다.

 

이더넷 프로토콜은 IEEE(전기 전자 공학 협회)라는 조직에서 IEEE.802.3 으로 표준화 하였습니다.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프레임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프리앰블: 이더넷 프레임이 시작한다고 장비에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2. 맥주소: 송신지/수신지 맥주소가 있습니다.

3. 타입/길이: 프로토콜 타입을 나타냅니다 (ARP, IPv4, IPv6) / 프레임 길이를 나타냅니다.

4. 페이로드: 상위 계층에 전달되는 데이터입니다. 상위계층의 header + data 가 감싸져 있습니다.

5. FCS: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필드입니다. CRC라는 순환 중복 검사 값이 존재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브, 스위치란?  (0) 2024.07.01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란?  (0) 2024.07.01
네트워크 성능 평가하기  (0) 2024.06.29
OSI 모델과 TCP/IP모델  (0) 2024.06.29
메세지 교환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0) 2024.06.29